[김대호의 경제읽기] 예비 전력 '뚝'…8년 만에 비상단계 발령 가능성<br /><br /><br />짧은 장마에 일찍 찾아온 폭염으로 열대야까지 예고되며 전력 사용량도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상황 진단부터 어떤 대책이 마련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수도권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되며 배달 주문이 늘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배달 수요가 늘어나며 배달비도 들썩이고 있다는데요.<br /><br />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 짚어봅니다.<br /><br /> 강력한 폭염이 찾아오면서, 전력 수급에 경고음이 울리고 있습니다. '전력 보릿고개'라는 말과 함께 8년 만에 전력 수급이 비상 단계에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현재 예비 전력은 어떤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2011년처럼 전력 대란이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염려도 있는데요. 무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도 전에 전력 공급 우려가 나오게 된 이유는 뭔가요? 현재 정부는 어떤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?<br /><br /> 지난 주부터 수도권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시행돼 외식시장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. 매장 중심의 음식점은 업종을 가리지 않고 매출이 줄고 있지만, 배달시장은 반사 이익을 누리고 있다죠?<br /><br /> 호황을 누리고 있는 배달 시장에서 커피와 디저트류 주문도 늘어난 점이 눈에 띕니다. 재택근무 영향일까요?<br /><br /> 주요 배달 앱이 수요 증가에 대비해 배달원인 라이더를 꾸준히 늘려 지난해 여름과 같은 '배달대란'은 발생하지 않았지만, 배달비가 들썩이고 있다고요? 현재 음식점과 고객이 부담하는 배달비는 어느 정도 수준입니까?<br /><br /> 구직활동을 포기하거나 쉬는 이른바 구직단념자가 58만 3천 명으로 최대 규모로 집계됐습니다. 취업자 수와 구직 단념자가 함께 늘어나는 현재 상황, 왜 그런거죠? 어떻게 봐야 합니까?<br /><br /> 특히 구직단념자 중 절반 가까이는 한창 일해서 돈을 모아야 할 2030세대로 드러났습니다. 2030세대 구직 단념자가 늘어난 근본적인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코로나19 확산으로 채용을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기업들이 잇따르는 등 취업경기도 변화해오고 있죠. 구작자들 사이에선 올해 하반기 취업경기에 대한 기대감도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. 하반기 취업시장. 어떻게 전망하십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